
배정훈 PD/사진제공=웨이브
[헤럴드POP=김나율기자]배정훈 PD가 모방 범죄에 대한 우려의 시각에 대해 생각을 밝혔다.
웨이브 '국가수사본부'가 지난 3일 공개된 후 순항 중이다. 배정훈 PD의 첫 OTT 진출작이기도 한 '국가수사본부'는 리얼한 수사 다큐멘터리로 이목을 끌었다. '국가수사본부'가 공개된 후, 일각에서는 우려의 시선도 있었다. 경찰관의 감정이 날것 그대로 드러난다는 점부터 자세한 범행 수법 묘사 등으로 모방범죄에 대한 우려였다. 여러 시각에 대해 배정훈 PD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서 헤럴드POP과 만난 배정훈 PD는 "기본적인 원칙은 이야기를 보태거나 빼지 말자는 거다. 가급적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싶었다. '이렇게 하면 경찰이 욕을 먹을까?', '이렇게 하면 경찰을 응원할까?' 등 무엇 하나 빼거나 과장하려고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은 사건을 미제로 남기지 않고 풀어야 한다. 사건의 실마리를 풀었을 때, 우리가 일을 해내듯 당연히 기쁠 것이다. 사건의 중심에서 그분들과 함께하다 보면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생각을 가지실 수도 있는데, 그때 그분들의 감정은 그렇다. 요리조리 피해 다니는 용의자를 보면 당연히 화도 날 테다. 경찰도 사람이니까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경찰이라고 해서 점잖고 비즈니스적으로 이야기하는 게 더 부자연스럽지 않나. 제작진은 같이 다니면서 그 감정을 이해했다"고 했다.
범행 수법 등을 자세히 묘사하고, 높은 수위에 대한 우려의 시각에 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있다고 본다. 첫 번째는 범행 수법을 있는 그대로 보여줘 모방 범죄가 우려된다는 시선이다. 두 번째는 범행 수법을 정확히 알고 피해를 당하지 않아야 한다는 시선이다. 이 콘텐츠는 디테일하게 수사하는 경찰관의 노고에 방점이 있다. 제작진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시각이 반갑다. 이러한 장르의 다큐멘터리에 관한 방법론이나 취재 윤리, 제작 윤리는 우리 사회에 많지 않았다. 지상파에서 OTT로 넘어오면서 이러한 논의가 더 필요해졌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논의를 환영하고 저도 논의에 참여하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배정훈 PD/사진제공=웨이브
또 피의자 가족들의 반발 등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당연히 있었다. 그런 경우도 제외했다. 우리의 콘텐츠는 피의자를 촬영하기 위해서나 비판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또한 사건을 해결하는 경찰관이 주인공이기에 이를 숨어서 몰래 찍거나 하진 않았다. 카메라를 노출해서 촬영했다. 강하게 반발한 분들은 제외했다. 명시적으로 말씀드린 분은 제외했다. 피의자들도 촬영하는 건 카메라가 옆에 있었으니까 알고 있었다. SBS 카메라라고 적혀 있었다. 물론 피의자를 대놓고 찍은 건 아니다."
경찰관들의 고충에 대해서도 전했다. "일례로 강력팀이 매주 한 번씩 당직을 선다. 그 밤에 들어오는 사건은 이 팀의 사건이 된다. 경찰서 강력팀이라고 하면, 강도와 살인사건 등을 해결하는 영화적 상상을 하시곤 한다. 이분들이 어디까지 사건을 맡냐면, '우리 집의 화분을 누가 훔쳐 갔어요. 찾아주세요' 등 일상의 민생치안까지 담당한다. 강력반 형사들이 큰 사건이 날 때 고생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일상생활 속 다양하고 많은 사건을 처리하시느라 고생이 많다."
'국가수사본부'에는 다양한 지역의 경찰관들이 등장한다. 섭외 과정도 쉽지 않았다며 "처음부터 끝까지 일이 방해되지 않는 거리를 유지하며 촬영했다. 경찰이 내보내지 말라고 한 부분도 있고, 피의자가 강력히 반발한 경우도 있다. 계약서를 통해 합의할 때, 피의사실공표 문제, 공무상 비밀 유지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선 반드시 기소되어야 한다는 부분이 있다. 기소 이후엔 괜찮다. 실제로 '국가수사본부'에 나오는 사건들은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롭고, 대부분 유죄 판결을 받았다. 방송심의 가이드라인 준수 하에 진행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많은 지역의 경찰관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지역마다 경찰관들의 언어, 분위기, 풍경 등 고유의 색이 다르다. 다양하게 담길 원해서 작년 3월부터 안 가본 데가 없을 정도로 다니며 발품을 팔았다. 조금 욕심나서 강력 사건으로 다루려고 했다. 소문을 많이 따라다녔고, 전국 팔도를 돌아다니며 기묘한 경험을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팝인터뷰③]에서 이어집니다)
pop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