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POP=성선해 기자] 배우 고원희(22)가 시한부 환자 역을 맡아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그가 바라본 죽음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27일 개봉한 영화 '흔들리는 물결'(감독 김진도/제작 비밀의 화원, 청년필름)은 사랑하는 여동생의 죽음을 목격한 후 삶의 무의미함에 괴로워하던 연우(심희섭)가 죽음을 앞둔 여자 간호사 원희(고원희)를 만나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담았다.
극 중 고원희는 기적을 찾는 여자 원희 역을 맡았다. 현대 의학도 포기한 말기 암 환자지만, 생의 연장을 위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고군분투하는 인물이다.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사는 그의 의지는 트라우마 때문에 세상과 담을 쌓은 연우까지 변화시킨다.
하지만 후반부에는 불가항력적인 운명 때문에 괴로워하는 원희의 고군분투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한다. 밝고 당찼던 전반부와는 대조적이다. 이와 관련해 고원희는 "원희란 친구가 가진 아픔이 잘 표현되었으면 했다"라고 말했다.
"밝았던 때와는 대비가 되었으면 해서 그렇게 표현했다. 여타 매체에서 죽음을 슬프고도 극적으로 다룬다. 하지만 내가 경험한 죽음은 좀 달랐다. 예전에 셋째 이모가 암으로 돌아가신 적이 있다. 방학 때마다 댁을 방문하고, 항암치료를 받는 것도 봤다. 근데 당시 난 이모가 아픈 줄도 몰랐다. 너무 담담했으니까. 실제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그렇더라. 안에서는 썩어 문드러지지만, 겉으로는 담담한 거다. 그런 사실적인 부분을 표현하고 싶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급변하는 원희의 모습. 고원희는 갈수록 체중이 줄어드는 말기 암 환자 역을 위해 하루에 한 끼만 먹으면서 버텼다. 그는 "아픈 사람이기 때문에 그걸 외적으로도 표현하고 싶었다. 몸무게를 감량하기 위해서 선택한 방법이었다. 그래도 아쉬운 점이 많았다"라며 완벽주의자의 면모를 드러냈다.

고원희는 "사실 죽음이란 단어는 무겁고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누구나 한 번쯤은 다 생각을 해보는 친숙한 감정이기도 하다"라며 "현장에서 보면 어린 아역배우들도 눈물 연기를 할 때 부모님의 죽음을 떠올리기도 하더라. 나이 혹은 경험과는 상관없는 감정이 바로 죽음이다"라고 했다.
그렇기에 원희의 감정선을 이입하는데 큰 문제는 없었다고. 그는 "하지만 이해하는 것과 보여주는 건 달랐다. 그 부분이 가장 어려웠다"라며 "원희는 암 선고를 받고 여러 감정 변화를 거친다. 처음에는 세상을 향한 분노를, 그러다 억울함으로, 나중에는 체념으로 이어진다. 내가 가진 감정들을 관객들도 같이 따라갈 수 있길 바랐다"라며, 세밀한 표현에 각별히 공을 들였음을 밝혔다.
"'흔들리는 물결'은 죽음을 다루고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따스한 영화다. 연우가 원희로 인해 트라우마를 극복하게 되고, 원희도 연우를 통해 치유받는다. 그런 과정을 그렸다. 마음의 상처가 있는 사람들은 우리 영화를 보고 위안받고 돌아가셨으면 한다. 다 보고 나서 기립박수가 나오지 않아도 좋다. 자기 전에 문득 한 장면이 생각나더라도 만족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