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POP=이미지 기자] 하정우가 감독으로서의 노선을 확실히 정했다.
배우 겸 감독 하정우가 세 번째 연출작인 영화 ‘로비’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로비’는 연구밖에 모르던 스타트업 대표 창욱(하정우)이 4조 원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생 첫 로비 골프를 시작하는 이야기.
앞서 대한민국 대표 믿고 보는 배우 하정우는 지난 2013년에는 ‘롤러코스터’로, 2015년에는 ‘허삼관’으로 감독으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하지만 세 번째 연출작을 선보이기까지는 10년이 걸렸다. 이는 하정우가 감독으로서의 노선을 확실히 정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하정우는 헤럴드POP과의 인터뷰에서 “블랙코미디 장르는 아드레날린이 나온다. 내가 신나는 것 같다”라며 “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쓰리 빌보드’도 블랙코미디로 느껴지더라. 인물들의 무표정과 툭툭 템포감 있게 던지는 대사의 무심함이 너무 웃기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이런 영화들에 관심을 갖게 되어서 이게 뭐지 생각해보니 블랙코미디 장르라고 볼 수 있겠구나 싶더라”라며 “정확하게 규정짓지는 못하겠지만, 무심함 속에서 툭툭 뱉는 걸 좋아하는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하정우는 ‘로비’ 촬영 현장에서도 배우들이 애드리브를 하지 않기를 바랐다. 그는 “템포, 타이밍으로 보면 ‘이거 딱 코미디야’라고 강조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오히려 난 그걸 원치 않았다. 배우들이 현장에서 애드리브를 많이 안 하기를 바랐다. 대신 리딩할 때 마음껏 애드리브를 하게 했다”라며 “그런 시간을 충분히 갖고 배우들이 엑기스만 남은 상황으로 무심하게 해주기를 바랐다. 리딩 통해서 전부 제거하고, 현장에서 템포감을 살리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하정우는 네 번째 연출작 ‘윗집 사람들’(가제) 촬영도 마쳤다. 그는 “감독으로서 노선을 정하느라 ‘로비’를 내놓기까지 시간이 걸린 것 같다”라며 “‘로비’를 두고 ‘롤러코스터’ 말씀을 많이 해주시는데, 이런 색깔의 영화를 앞으로도 만들게 될 것 같다”라고 귀띔했다.
“연출이라는 게 부담되고, 공포스럽지만 그 정도 스트레스만큼 가슴 뛰고 신나는 일인 것 같다. 더 좋은 기회가 생긴다면 연출만 하거나 주인공이 아닌 적은 비중으로 나오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연출자로서 올곧이 네임드가 생긴다면 연출만 하는 작품들이 나오지 않을까 그런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하하.”
이처럼 감독으로서 노선을 확실히 정한 하정우가 앞으로 감독으로서 또 어떻게 성장해 나갈지, 자신의 바람대로 연출자로서 올곧이 네임드가 생길 수 있을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