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임수정/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POP=이미지 기자] 배우 임수정이 최고의 로맨스 상대로 이동욱을 꼽았다.
임수정이 영화 '싱글 인 서울'을 통해 다시 한 번 '로맨스 장인'의 면모를 드러냈다. 이동욱과의 사랑스러운 플러팅 케미는 관객들의 연애세포를 자극하기 충분하다.
최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헤럴드POP과의 인터뷰에서 임수정은 싱글라이프에 대해 만족감을 내비치면서도 비혼주의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싱글 인 서울'은 혼자가 좋은 파워 인플루언서 '영호'와 혼자는 싫은 출판사 편집장 '현진'이 싱글 라이프에 관한 책을 만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웰메이드 현실 공감 로맨스. 임수정은 극중 혼자는 싫은 출판사 편집장 '현진' 역을 맡았다. 완벽한 업무 능력으로 일할 때는 프로이지만 일상은 허당기 가득한 동네북 출판사 편집장 '현진'은 서로 다른 싱글 라이프를 가진 '영호'(이동욱)를 만나며 설렘을 느끼는 인물이다. 그동안 많은 로맨스, 멜로 장르로 사랑 이야기를 펼쳤던 임수정이지만 어느 때보다 '현진'에게 애정이 간단다. '현진'이 현실적이라 공감이 갔기 때문이다.
"이번에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내 필모그래피를 훑어주셔서 다시금 살펴보는 계기가 됐는데, 로맨스와 멜로 장르를 운이 좋게 꽤 했더라. '현진'이가 특히 좋은게 뭔가 자기 일을 프로페셔널하게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사적인 영역에서는 관리가 잘 안 되고 신경을 못써서 빈틈이 많다 보니 연기하는데 있어서 자유로움을 느꼈다. 그전에는 조금은 비현실적인, 현실과는 거리가 먼 캐릭터들을 주로 했다면, '싱글 인 서울'에서는 편했다. 그래서 애정이 많이 가는 것 같다."
'로맨스 장인'이라는 타이틀은 그동안의 상대배우들 덕분이라면서도 단연코 최고는 이동욱이라고 치켜세워 눈길을 끌었다.
"그 타이틀을 붙여주신게 영광스러운게 로맨스 장르를 많이 하긴 했지만, 내 덕은 많이 없는 것 같다. 로맨스에 특화된, 너무 훌륭한 상대배우들을 많이 만났다. 소지섭, 약간 결은 다르지만 황정민, 류승룡도 로맨틱했다. 공유, 현빈, 강동원, 정우성, 이동욱까지 그들이 다 한 거다. 내가 운이 좋았다. 지금은 단연코 이동욱이 최고다. 다른 분들에게 미안하지만, 이동욱밖에 없다. 하하."

영화 '싱글 인 서울' 스틸
'싱글 인 서울'의 '현진'은 혼자가 싫고 함께가 좋은 스타일이라면, 임수정은 함께도 좋지만, 혼자도 즐겁다는 생각을 갖고 살고 있다고 털어놨다. '현진'이처럼 호감 가는 상대에게 표현도 잘하는 편이란다.
"혼자서 지내는 싱글라이프도 좋아하는 편이다. '현진'이의 경우는 '혼자는 싫어, 함께가 좋아'라고 이야기하는데 난 '함께도 좋지만, 혼자도 즐거워'라는 생각을 갖고 살고 있다. 싱글라이프에 대해 만족한다. 내가 관심이 있거나 친해지고 싶고 알고 싶어지고 호기심이 생기면 먼저 마음을 표현한다.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하든 그래도 표현은 해보는 편이다. 상대방이 관심이 있구나 시그널을 알아챌 수 있는 정도로만 표현한다."

배우 임수정/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뿐만 아니라 임수정은 싱글라이프를 즐기고 있지만, 비혼주의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렇다고 결혼에 대해 조급하지는 않고, 자연스럽게 만남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다. 그렇다고 결혼을 빨리 하기 위해서 누군가를 만나야 되겠다고 생각해본 적 역시 없다. 언젠가는 누군가랑 함께 살고 싶지 혼자 살고 싶지는 않다. 아직도 자만추를 기다리나 보다. 그래서 기회가 더 적어지는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마음이 조급한 건 없고, 자연스레 잘 만나겠지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집순이라서 보통은 집에서 지내는 걸 좋아하는데, 연말이니 모임이라도 나갈까 보다. (웃음)"
임수정은 '싱글 인 서울'을 보고 연애세포가 살아날 것만 같았다면서 관객들 역시 몽글몽글한 감정을 느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표했다.
"사랑스럽고 따뜻한 영화가 나왔다 싶었다. 나도 내 영화 보고 설렘설렘한 거는 오랜만이었다. 연애세포가 살아날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작보고회, 시사회 같은 큰 행사 전에 인터뷰를 하는데 이동욱과 같이 연애세포 진단 테스트를 해줬다. 로맨스 영화 주인공들 맞으시냐라고 할 정도로 둘 다 연애세포가 거의 죽었더라.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니깐 사라졌던 연애세포가 올라오는 느낌이 들어서 연말에 관객들 역시 마음이 몽글몽글함을 오랜만에 느끼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popnews@heraldcorp.com